이 계산결과를 소송 등의 근거로 사용할 수 없음
(사)한국패시브건축협회 (Passive House Institute Korea) ⓒ All rights reserved.
필요한 화스너 개수(모서리) [개/㎡] :
필요한 화스너 개수(모서리) [개,단열재 면적 기준] :
필요한 화스너 개수(가운데) [개/㎡]:
필요한 화스너 개수(가운데) [개,단열재 면적 기준] : - · 줄눈과의 거리에 따른 강도 차이는 고려하지 않음
- · 단열재 크기 1200 mm × 600 mm 을 기준으로 하여 화스너를 배치함
- · 화스너 배치는 최대 26개까지 표시되며, 이를 초과한 경우의 배치는 고려하지 않음
- · 계산된 화스너의 개수에서 약 3% 미달까지 허용
- · 이 계산결과를 소송의 근거로 사용할 수 없음
활용예시
피크외압계수
기본 풍속
지표면 조도구분
지형계수
중요도계수
하중등급
· 기준 높이 20m 미만 건축물의 풍하중 계산 예시
· 건물 개요
- · 구조: 철근콘크리트조
- · 용도: 사무용 건물
- · 규모: 가로(W) 20m, 세로(D) 15m, 높이(H) 12m
- · 위치: 서울특별시 송파구 주택밀집지역
- · 지형: 평지
- · 지붕 형태: 박공지붕, 각도 20 °
- · 단열재: EPS, 규격 1200 mm × 600 mm, 두께: 220 mm
- · 화스너 설계 인발강도: 0.25 kN 가정
· 피크외압계수 산정
- · 유효수압면적: 1.2 m × 0.6 m = 0.72 ㎡
- · a: 0.1W 혹은 0.4H 중 작은 값, 20 m × 0.1 < 12 m × 0.4 이므로 a = 2m
- · 가운데의 피크외압계수: -2.8, 모서리의 피크외압계수: -2.2
· 기본풍속,지표면 조도구분, 지형계수, 중요도계수, 하중등급
- · 기본풍속: 28 m/s
- · 지표면 조도구분: B
- · 지형계수: 1.0
- · 중요도계수: 0.95(중요도(2))
- · 단열재 하중등급: 0.15 kN
· 결과계산
- · 설계풍속 VH = V0KDKzrKztIw= 기본풍속 × 풍향계수 × 풍속고도분포계수 × 지형계수 × 건축물의 중요도계수
= 28 × 1.0 × 0.81 × 1.0 × 0.95 = 21.546 m/s - · 설계속도압 qH= 1/2 ρV2H = 0.5 × 1.225 × (21.546)2 = 284.341 N/㎡
- ·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 Wc(모서리)= qH(GCpe-GCpi)AC = 284.341 × -2.8 × 0.72 = - 573.2314 N = -0.573 kN
- ·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 Wc(가운데)= qH(GCpe-GCpi)AC = 284.341 × -2.2 × 0.72 = - 445.6441 N = -0.445 kN
- · 필요한 화스너 개수(모서리) [개,단열재면적기준]: │-0.573 ÷ 0.15 │ ÷ 0.72 = 3.82 ÷ 0.15 = 5.31 = 6개
- · 필요한 화스너 개수(가운데) [개,단열재면적기준]: │-0.445 ÷ 0.15 │ ÷ 0.72 = 2.96 ÷ 0.15 = 4.12 = 5개
- · 표 9의 단열재별 최소 화스너 개수인 4개/㎡(단열재면적 미적용) 충족
그림 1.기준높이 20m 미만 평지붕 및 박공지붕 건물의 풍하중 계산 예시 건물